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세금계산서 발행하는 방법 따라하기 : 국세청 홈택스 전자세금계산서 끊기

세금계산서는 인터넷으로 발행하는 전자세금계산서와 수기로 작성하는 종이세금계산서가 있습니다. 오늘은 컴퓨터의 인터넷 사이트에서 전자세금계산서를 발급하는 방법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세금계산서 발행을 위해 국세청 홈택스 사이트에 방문해주세요. 주소는 홈택스 쩜 지오 쩜 케이알 인데요. 영어로는 hometax.go.kr 입니다. 네이버나 다음등 검색사이트에서 한글로 홈택스 또는 국세청이라고 검색하시면 쉽게 찾을 수 있습니다.

 

상단의 로그인을 누르면 공인인증서 로그인 화면이 나옵니다. 저처럼 기존 공인인증서로 로그인 하시는 분들은 공동, 금융인증서 라는 곳을 눌러주시면 됩니다. 요즘은 간편인증등 민간인증서도 출시가 되어서 다양한 방법으로 로그인을 하셔도 됩니다.

 

 

보통의 경우에 회사로 세금계산서를 발행하기 때문에 회사의 공인인증서를 선택하고 인증서 비밀번호를 입력하시면 로그인이 완료됩니다.

 

 

로그인이 완료되면 상단 메뉴중에 조회/발급 메뉴에서 아래 전자세금계산서 - 발급 버튼을 눌러줍니다. 발급 버튼을 누르면 건별발급, 수정발급, 일괄발급등이 나오는데 기본적인 건별발급을 눌러주면 됩니다.

 

 

건별발급을 누르게 되면 아래와 같이 세금계산서 정보를 입력하는 화면이 나오는데요, 왼쪽 빨간부분은 공급자로 우리 회사의 정보가 자동으로 입력되어 나타납니다. 그리고 오른쪽 파란색 부분은 공급받는자로써 우리가 세금계산서를 끊어줘야하는 상대회사의 정보를 입력하는 곳입니다.

 

그럼 세금계산서를 발행할 상대 회사의 정보를 입력해보겠습니다.

 

첫번재 입력할 것으로 등록번호는 상대 회사의 사업자번호를 입력하는 곳입니다. 사업자번호를 입력하고 확인버튼을 누르면 이 사업자번호가 정상적인 번호인지 아닌지 확인 메세지가 뜹니다.

 

두번째 입력할 것은 상호입니다. 상대 사업자등록증상의 회사이름을 적어주시면 되겠습니다. 

 

세번째는 성명 입니다. 상대 사업자등록증상의 대표자 명을 입력해주시면 됩니다. 특히 학교나 기관등 사업자 대표자가 교장선생님등 매년 또는 가끔 바뀌는 곳들이 있는데요, 바뀐 대표자명으로 입력했는지 확인할 필요가 있습니다. 

 

 

예전 사업자등록증을 가지고 입력하다보면 잘못된 대표자명으로 계산서를 발행했다가 수정발행해야하는 경우도 생기더라고요.

 

네번째는 사업장 인데요, 사업자등록증 상의 주소지를 입력하면 되겠습니다.

 

다섯번째는 업태와 종목입니다. 사업자등록증상의 업태와 종목을 간단히 써주시고 업태와 종목이 없는 기관은 안쓰셔도 됩니다.

 

여섯번째는 중요한 이메일 주소인데요, 사업자등록증을 발급하면 상대회사의 담당자에게 이메일로 세금계산서가 발송됩니다. 따라서 이메일 주소를 정확히 잘써야 담당자에게 세금계산서가 잘 전달될 수 있습니다.

 

다음으로는 아래 거래한 품목을 추가하는 곳입니다. 월은 자동으로 기입이 됩니다. 일은 발행하는 날짜를 입력해주시면 되고요, 품목은 거래한 물품내용을 자세하게 적어도 되고 대략적으로 어떤 물건을 거래한 것인지 알아볼 수 있을정도만 적으셔도 됩니다.

 

규격 및 수량, 단가는 꼭 필요한 경우에만 적으시고 보통은 총액만 입력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총액을 입력하는 경우 헷갈리실 수도 있는데요, 먼저 총액이 부가세포함 100만원이라고 가정한다면 합계 밑에있는 계산 버튼을 먼저 눌러줍니다. 그러면 공급가액과 세액을 자동계산해주는 화면이 나오게 되는데요, 여기서 합계란에 1,000,000원을 입력해주고 계산버튼을 눌러줍니다.

 

그러면 자동으로 공급가액과 세액이 계산되어서 입력되어지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그리고 확인버튼을 누르고 빠져나옵니다.

 

이제 모든 절차가 끝이 났습니다. 모든 정보가 잘 입력되었는지 확인하시고 아래에 파란색으로 된 발급하기 버튼을 눌러줍니다. 

 

 

그러면 최종적으로 공급자 이메일과 공급받는자 이메일로 전자세금계산서를 발송했다는 메세지가 뜨게 됩니다. 이로써 전자세금계산서 발행이 완료가 되었습니다. 수고하셨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