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가 어린시절 학교를 다니고 졸업을 한 뒤에 사회에 나와서 학교를 졸업 했다는 증명을 해야 될 때가 있습니다. 이때 필요한 것이 바로 졸업증명서 인데요. 대학교 졸업증명서 또는 고등학교 졸업 증명서 등 이런 졸업 증명서를 발급 받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저는 이번에 대학교 졸업증명서가 필요했는데요. 대학교에서 전공이 무엇이었는지 확인할 일이 있어서 졸업증명서 발급을 해 보았습니다. 결론적으로 졸업증명서는 인터넷으로 발급 할 수가 없습니다. 인터넷으로 신청을 하고 관할 동사무소에 가서 서류를 찾아야 됩니다.
또 국립 대학교는 수수료가 없었습니다. 사립 학교는 수수료가 발생을 하구요. 약 1000원 정도가 발생하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요. 자 그러면 제가 어떻게 졸업증명서를 발급받았는지 지금부터 차근차근 설명 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잘 따라와 주세요!
1. 졸업증명서 인터넷 신청
먼저 정부 24 사이트에 접속 해 주세요. 다음이나 네이버등 검색사이트에 정부24로 검색하거나 인터넷 주소창에 gov.kr를 입력하면 접속하실 수 있습니다.
두번째로 로그인을 해줘야하는데요, 제 개인 졸업증명서이기 때문에 개인 공인인증서나 간편인증을 통해서 로그인을 해주면 됩니다. 예전 공인인증서는 공동, 금융 인증서로 이름이 바뀌었으니 잘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세번째 로그인 후에 졸업증명서를 검색해줍니다.
민원 신청 서비스에서 대학(교) 졸업증명을 찾아줍니다. 그리고 오른쪽에 신청 버튼을 눌러주시고요.
신청하기를 누르면 대학교 졸업(예정) 증명 정보를 입력하는 화면이 나오는데요, 졸업증명 메뉴와 졸업예정증명 메뉴 2가지가 나옵니다. 흰색 부분이 선택되어진 메뉴입니다. 저는 졸업증명서 이기 때문에 왼쪽메뉴가 맞겠습니다.
먼저 대학(교) 정보를 입력해줍니다. 구분에서 대학(교)을 졸업한 것인지, 대학원을 졸업한 것인지 체크를 해주시고요, 두번째로는 대학교 이름을 검색해줘야 합니다. 오른쪽 학교검색 버튼을 클릭해서 자신이 졸업한 학교를 검색해줍니다. 그리고 전공학과는 키보드로 작성을 해주세요.
그럼 마지막으로 발급부수와 증명수수료, 발급수수료 정보가 나옵니다. 국문으로 발급할지 영문으로 발급할지 발급수량을 적어주시면 됩니다. 기본적으로는 국문 1통 발급이 표시되어 있고 발급수수료도 자동으로 표시가 되는 것 같습니다. 이때 중요한 것이 국립대학교는 발급수수료가 면제 된다는 것입니다. 그래서 0 원으로 표시가 된 것 같습니다.
그리고 방문 수령기관을 선택해주면 완료가 되는데요, 수령기관 검색 버튼을 눌러서 가까운 동사무소를 찾아서 선택해주고 민원신청하기 버튼을 누르면 졸업증명서 신청이 완료가 됩니다. 하지만 자신의 컴퓨터 프린터로 인쇄를 할 수는 없고요, 동사무소로 방문을 해야한다는점 꼭 명심하시고 아래 방문 후기도 참고해주세요.
2. 동네 동사무소에서 증명서 찾기
이제 정부24에서 신청한 졸업증명서를 찾기 위해서 아까 지정했던 발급기관인 동사무소에 방문해 주겠습니다. 동사무소에 어렵게 주차를 마치고 출입명부를 작성하고 손소독을 한뒤 민원 증명서를 발급해주는 창구에 번호표를 뽑고 기다렸습니다.
그리고 제 차례가 되어서 직원분께 졸업 증명서를 찾으러 왔다고 말을 하고 제 이름을 말해 줍니다. 그리고 제 신분증을 보여 주면 동사무소에서 미리 뽑아놓은 제 대학교 졸업증명서를 전해 주었습니다. 이때 수수료가 발생 할 수 있는데요.
졸업증명서를 수수료 달라는 말 없이 그냥 주시길래 직원분에게 수수료가 없냐고 물어 봤습니다. 그랬더니국립대학교는 수수료가 없다고 하더군요. 나름 뿌듯한 순간이었습니다. 수수료를 내기 위해서 천원짜리를 챙겨갔는데 천원을 번 느낌이었습니다.
3. 문서 스캔 어플 활용
발급받은 졸업증명서를 다양하게 사용하기 위해서 스캐너로 스캔을 하거나 사진으로 잘 찍어서 활용하시는분들이 많습니다. 스캐너가 없는분들이나 스캐너를 활용하지 못하는분들이 많은데요. 이럴때 꿀팁으로 핸드폰으로 스캔을 할 수 있는 어플들이 많이 있습니다.
저는 CamScanner 라는 어플을 사용하고 있는데요. 일반적으로 사진으로 찍는게 아니라 이런 스캔 어플을 이용하면 핸드폰으로 사진처럼 촬영을 한뒤 사이즈 자동조절, 화질 자동조절을 해주면서 스캐너로 스캔한것처럼 자연스럽게 사진을 저장해주게 되어서 스캐너가 없을때 급할때 매우 편리하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번씩 사용해보시기 바랍니다.